잡무 졸업!··· 대학 조직들의 생성형 AI 수용법

챗GPT로 작성된 기말 보고서를 어떻게 걸러낼 수 있을까? 그건 지난 학기의 고민거리다. 국립교육통계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내 약 4,000개 고등교육 기관의 CIO들이 다른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 학생과 교수, 임직원들이 생성형 AI을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전략과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 문제다. 이들 CIO 다수는 생성형 AI을 활용하여 운영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일례로 대학들은 복잡한 행정 절차를 자동화하기 위해 LLM 기반 도구를 점점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학생 지원, 재정 지원, 자원 할당, 교수진의 업무량 균형, 규정 준수 보고, 조달과 같은 백오피스 기능도 처리한다. 많은 대학들은 또한 AI 기반 챗봇이 학비부터 캠퍼스 생활과 관련된 모든 것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에게 많은 긴급한 질문과 우려 사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절약할 수 있는 비용도 매력적이다. 미시간 대학의 IT 담당 부사장 겸 CIO인 라비 펜스가 이에 대해 조사한 인물이다. 그에 따르면 대학의 청구 부서가 사용하는 기존의 조달 도구에 매년 수십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다. 하지만 대학의 메이지 LLM(Maizey LLM)과 관련 AI 도구를 구축함으로써 해당 비용이 62달러로 감소했다.